spring.jpa.hibernate.ddl-auto만 따로 정리하는 이유
매번 update로 쓰고 살았는데.. 개인프로젝트를 구상하면서 알게 된 점
운영 서버는 update를 사용하면 안된다고 한다
제발 제대로 알고 쓰렴 !!!! (네..)
1. create
- 기존 테이블을 삭제한 후 다시 생성
- drop -> create
- 운영 서버에서 이걸 쓴다 ? 싹다 날아가고 난리 나겠죠?
2. create-drop
- create을 하나 종료 시점에 테이블을 drop한다
- 운영 서버에서 이걸 쓴다 ? 1번과 이하동문
3. update
- 내가 뭣도 모르고 매번 썼던 것.. 변경된 부분만 반영한다
- 개발 초기 단계나 테스트 서버에서만 쓴다고 한다
4. validate
- 엔티티와 테이블이 정상 매핑되었는지만 확인한다
5. 그냥 안 쓴다
- 운영 서버에선 validate를 쓰거나 안 쓴다
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ApplicationContext (0) | 2023.07.15 |
---|---|
[Spring] 의존성 주입(DI)의 예시 (0) | 2023.07.15 |
[Spring] Swagger로 API 문서 자동화하기 (0) | 2023.01.04 |
[Spring] MyBatis (0) | 2022.12.19 |
[Spring] Spring Security (0) | 2022.12.19 |